목록공부 (2)
삶 가운데 남긴 기록 AACII.TISTORY.COM
수학은 한마디로 표현하면 수학은 연역적 추론입니다. 현대의 수학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논리를 사용하여 자신의 주장(이론)을 증명하면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논리는 크게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이 있는데, 이 중에서 수학은 연역적 추론을 사용합니다. 물론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, 이는 셀 수 있는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 더보기 무수히 많은 실수 집합에서 셀 수 있는 수인 정수는 매우 특수한 경우입니다. 고대 그리스의 유클리드가 쓴 기하학 원론이라는 책이 있습니다. 기하학 원론의 내용은 중학교때 배웠던 삼각형, 합동 등 도형들에 관한 내용입니다. 점, 선, 면 등의 정의와 몇 가지 공리로부터 참인 명제들의 연역적 추론만으로 쓰여있는 책입니다. 이는 현대 수학(과학) 이론 서술(증..

1. English is stress-based language 영어는 강세 중심 언어입니다. 여기서 강세란 말할 때 (크게+길게+높게) 발음하는 부분입니다. 극단적으로 원어민은 발음이 엉터리여도 강세가 있는 부분을 크고 길고 높게 발음해야 알아듣습니다. ※ 강세가 없는 부분(단어, 모음, 자음)은 schwa sound라고 해서 약하고 얼버무린 소리가 되어 생략하는 것처럼 됩니다. 반대로 강세가 있으면 장(긴) 모음이 되는데 한국어보다 입술과 턱을 크게 해서 [애] 발음 비슷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. ex) what a goal! 에서 a에 보통 강세가 없기 때문에 [와러 고울]로 발음하며 a 가 schwa sound [어]가 되지만 감탄사 이기 때문에 각각의 단어 모두에 강세를 주어서 끊어서 발음할 ..